이공계는 보통 학사 3년차부터 박사를 졸업할 때까지 논문이란걸 읽게 돼
근데 보통 고졸, 전문대, 인문대학 출신이라면 이공계 논문 읽기가 쉽지 않지?
위 같은 사람들을 위해 이공계 논문을 '아주 간단하게나마' 읽는 법을 알려줄게
1. 구글 스칼라
구글은 구글스칼라 라는 서비스를 제공해.
인류의 모든 지식은 여기에 있다고 보면 되는데,
영어가 중요하다는 이유가 여기에 있어.
지금까지 생성한, 생성할 인류의 모든 지식은 영어로 쓰여있거든.
물론 한글도 있고, 중국어도 있지만, 결국 영어로 시작해서 영어로 끝나는게 논문이야
2. 원하는 키워드 검색하기
나는 "비타민C와 암" 이라고 검색했어
만약에 이 글을 읽는 너가
"나는 루테인과 눈 건강이 궁금해" 라고 생각한다면
검색창에 루테인 and 눈 이렇게 검색하면 돼
3. 여기서부터가 내가 진짜 말하고 싶은 거야.
논문의 결론(Conclusion)만 읽어.
예시를 들어줄게. 위에서 검색한 비타민c와 암 논문을 보자
뭔 소린지 모르겠어.
Placebo가 내가 아는 그 플라시보효과 그건가? 옆에 써있는 정체불명의 숫자들은 뭔데?
하지만 괜찮아.
너만 못 읽는게 아니야. 다 똑같이 못 읽어
심지어 유사 분야에 학위가 있는 나도 감이 안 와
그러니까 결론 conclusion만 읽자고.
모든 논문의 목차는 똑같아
ㄱ. 요약
ㄴ. 배경상황(해결과제)
ㄷ. 실험
ㄹ. 결론 +α
저기서 결론 +α만 읽자는거야
한 번 읽어보자
비타민c와 암 이라는 논문의 결론은 위와 같아
(원본 논문의 결론은 더 길게 작성돼있어)
결론을 읽어보면 또 무슨 말인지 모르겠지?
괜찮아, 사람들 다 몰라
그니까 걱정하지 말고 최대한 해석할 수 있는 부분만 해석하면 돼
결론은....지지하지 않는다(명확히 밝혀지지 않는다)...가설을...비타민c는...예방...치료..암.....
--> 아! 비타민C는 암 예방,치료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게 아니구나!
이런 식으로 해석하는거야
대충 어떤 느낌인지 알겠지?
물론 이 글에 헛점이 많아
If 점수라는 것도 고려해야 하고, 비타민c와 암이라는 하나의 주제에 결론이 다양하거든.
그래도 논문이라는 것을 한 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사람들을 위해
짧게나마 글 써봤어
3줄 요약
1. 구글스칼라 접속
2. 키워드 검색
3. [결론]만 읽기